서버 2

클라우드 DB vs 물리 서버 DB

🌐 클라우드 DB vs 물리 서버 DB, 웹 개발자가 꼭 알아야 할 이야기웹 개발을 하든, 앱 개발을 하든,우리가 어떤 데이터를 저장해야 하는 상황은 꼭 생기기 마련이다.사용자가 로그인했는지어떤 상품을 주문했는지작성한 글은 뭔지 등등...이런 데이터를 저장해두는 공간이 필요한데,그게 바로 우리가 흔히 말하는 데이터베이스(DB)다.💡 쉽게 말하면, 데이터 베이스는 '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해주는 저장소'라고 생각하면 된다.(물론 더 깊게 들어가면 RDB니 NoSQL이니 여러 종류가 있지만, 여기서는 개념 위주로~)🏠  그럼 이 DB는 어디에 있을까?우리가 개발하면서 만드는 UI나 화면은 프론트엔드에서 담당하지만,그 뒤에서 실제 데이터를 주고받고 저장하는 건 서버와 DB의 역할이다. 그런데 이 DB가 어..

[AWS] AWS란 무엇일까?

AWS(Amazon Web Services)AWS는 단순한 서버 임대 서비스가 아니라, 다양한 컴퓨팅, 데이터베이스, 스토리지, 머신러닝, 데이터 분석 등을 제공하는 종합적인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이다.예를 들어, 우리가 개발한 자바 웹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할 때 물리적인 서버를 구축하고 유지하는 일은 복잡하고 비용도 많이 들기 때문에 AWS는 이런 부분을 쉽게 해결해 주고,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. AWS의 주요 서비스와 활용 사례EC2(Elastic Compute Cloud): AWS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가상 서버EC2 인스턴스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서버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. 예를 들어,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한 후 트래픽 증가에 따라 서버를 확장해야 한다면..

AWS 2024.11.09